이 영화는 스마트 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넷플릭스에서 오픈 되자마자 순위 2위를 기록한 작품이다. 일본소설을 원작으로 한 일본 영화가 출시 되었지만 한국관객의 큰 호응은 얻지 못하였다. 이 영화가 리메이크 소식이 들려왔을 때 많은 사람들의 걱정이 많았지만 감독은 원작의 내용을 조금 각색하여 한국 범죄 스릴러로 변경하였다. 따라서 대 흥행에 성공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나미는 친구들과 과음 후 귀가하던 중 버스에서 떨어뜨린 스마트폰 하나로 사건이 시작된다. 다음날 없어진 스마트폰을 찾기 위해 전화를 걸어 폰을 주은 사람과 전화연결에 성공한다. 만나기로 한 장소를 정하였으나 갑자기 액정을 깨뜨려 죄송하다며 수리업체에 폰을 맡겨두었으니 찾아가라고 한다. 폰을 주운 사람은 여성이었으나, 수리업체의 사장이자 스마트폰을 주운 사람은 준영이다. 준영은 스마트폰을 찾으러 온 나미의 폰에 스파이웨어를 설치한 뒤 폰을 돌려준다. 이러한 상황을 모르는 나미는 그저 폰을 찾았다는 사실에 기뻐한다. 하지만 그 후, 준영은 나미와의 우연을 빌미로 나미의 주변에 맴돌며, 나미의 환심을 끈다. 이 모습을 본 나미의 아빠는 불쾌감을 느낄 정도로 의문을 품는다. 한편, 깊은 산속에서 시체를 발견한 형사 지만은 오래전 집을 나간 아들이 용의자 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 이유는 시체가 발견된 장소가 아들과 함께 심었던 나무 근처였기 때문이다. 그렇게 지만은 집 나간 아들 준영의 흔적을 찾기 시작하고 그 끝에 사건의 단서가 될 조각들을 발견하게 된다.
나미의 스마트폰을 주운 준영은 음성변조기를 활용해 나미에게 자신이 여성인 것처럼 속인다. 나미가 폰을 찾으로 오기 전 수리를 해야 된다는 이유로 서비스 센터에 찾아오게끔 유도를 했다. 신청서란에 비밀번호를 적게 만들었고 폰을 고치는 척 그녀의 폰에 악성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나미의 핸드폰 카메라 렌즈로 일거수일투족을 파악 할 수 있었고 핸드폰을 통해 모든 것을 파악 할 수 있었다.
휴대폰으로 해킹했음을 안 나미는 경찰에게 신고를 하지만 경찰은 확실한 해킹의 증거가 없으므로 사건 접수를 할 수 없다고 한다. 결국 홀로 싸워야 되는 나미이다. 그러던 중 수사팀장의 아버지가 준영과 관련성 있는 사건을 알게 되면서 행방을 쫓게 된다. 수사팀 장인 지만은 결국 나미를 미끼로 던져 준영을 잡으려고 했지만 준영이 아닌 다른 준영이였다. 하지만 결말의 가벼운 반전이 일어나면서 준영은 형사의 수사망을 빠져나오게 된다. 하지만 준영은 나미의 아버지를 인질로 잡아 나미를 살해하려던 찰나 준영은 나미의 기발한 기지로 인해 다시 돌아온 형사들에게 제압당하면서 영화는 마무리된다.
스마트폰을 떨어뜨리는 일상적인 행동이 끔찍한 사건을 발생시킬 수 있다고 누가 상상을 했을까? 현대인의 필수품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범죄 내용의 작품이다. 해당 영화는 일본의 영화를 리메이크했다. 배우들의 연기가 인상적이라 소름이 돋을 정도다. 이 영화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분신처럼 끼고 사는 스마트폰을 주제로 하는 작품이라 현실 공포감이 들었다. 스마트폰을 사용함에 있어 조금 더 조심하고 주의할 필요성을 알게 해준 영화이다.